본문 바로가기

BackEnd/K8S3

[K8S] 쿠버네티스 스터디 - 3(PV, Storage, Config Map) Persistence Volume(PV)docker에도 volume이 있음.-> 컨테이너의 데이터를 영구적으로 보관하기 위해서 이용함.-> POD 에도 이를 지원하는 기능이 있음.  apiVersion: v1kind: Podmetadata: name: tmpspec: containers: - image: ... volumeMounts: - mountPath: /opt //컨테이너 내부 경로 name: data-volume volumes: - name: data-volume hostPath: path:/data type: Directory하지만 클러스터에서는 권장하지 않는 방법이라고 함.(단일 노드는 상관이 없음.)-> 이는 모든 노드의 /.. 2024. 5. 20.
[K8S] 쿠버네티스 스터디 - 2(Service, Ingress) Sevice서비스는 사용자(포드 그룹, db 등)와 통신하는 데에 도움을 줌.  service를 통해서 node 내부의 pod와 사용자를 연결시켜 줄 수 있음.(docker의 port forwarding 느낌?)  이런 식으로 통신 가능(udemy의 이미지 저작권 때문에 직접 그려서 넣었습니다.)  즉 node의 포트 - service의 port - pod 포트(targt port)로 통신이 가능함. apiVersion: v1kind: Servicemetadata: name : myapp-service spec: type: NodePort ports: - targetPort: 80 port : 80 nodePort : 30008 selector: //다른 pod와 연결이.. 2024. 5. 20.
[K8S] 쿠버네티스 스터디 - 1(pod, replica set, deployment, namespace) 사내 쿠버네티스 스터디  PODPOD 는 K8S에서 만들 수 있는 가장 작은 단위POD는 보통은 컨테이너와 1 대 1로 매핑확장을 위해서 기존 POD에 컨테이너를 추가하지 않음.(새로운 POD를 생성하거나 POD를 지움) POD 하나에 여러 컨테이너를 넣을 수 있음.(파일 관리 같은 Helper Container가 필요할 수 있음.)-> POD만 정의하면 모든 컨테이너가 함께 작동하기 때문에 관리하기 용이. 이들은 서로 같은 공간을 공유하기 때문에 파일이나 통신이 용이.   //pod 생성kubectl run [pod name] --image [image_name]//pod 목록kubectl get pods  POD들은 YAML 파일 기반으로 만들 수 있음.# pod-def.ymlapiVersion : .. 2024. 5. 8.