BackEnd/java3 [JAVA] logback gz 압축 방법 최근 회사에서 위치 정보를 보관하기 위한 모듈을 만들고 있습니다.사실 제 서비스에서만 돌아가도록 구현을 해도 상관 없지만, 팀 내에 다른 서비스에도 적용해야 하기 때문에 이왕이면 모듈화를 시켜서 팀의 생산성을 높이고 싶어서 모듈을 만들었습니다. 이 과정에서 logback 내부를 뜯어보면서 많은 점을 배웠습니다. 이 점을 공유하려고 해당 글을 작성하게 되었습니다. RollingPolicy위치 정보를 파일로 남기는 방식으로 진행이 되게 됩니다.그러기 위해서는 logback의 FileAppender를 이용하고 rolling policy를 이용하면 편합니다. spring 개발자라면 TimeBased나 SizeAndTimeBased를 자주 이용하실 것입니다. 하루가 지나면, 이 로그를 gz로 압축하는 등의 작업.. 2025. 4. 29. [Mybatis] 테스트 코드 작성 최근 회사에서 서비스를 분리하고 있습니다. 기존 서비스가 점점 거대하지면서 서비스를 분리하려고 했습니다.서비스를 분리하면서 구현한 기능이 잘 동작하는 지 테스트 해볼 필요가 있습니다. 이를 위해서 저는 테스트 코드를 작성하자고 팀원에게 제안했었습니다. 팀원 분도 관심이 있으셔서 받아들였습니다.(기존에는 테스트 코드가 존재하지 않았었습니다.) 1. 서론아키텍처 구조는 헥사고날 아키텍처를 이용하고 있습니다. https://github.com/thombergs/buckpal GitHub - thombergs/buckpal: An example approach for implementing a Clean/Hexagonal ArchitectureAn example approach for implementing.. 2024. 11. 23. [Java] Integer 캐시 관련 이번에는 친구가 말해줘서 알게 된 내용입니다. 보시면, 두 값이 128로 같은데 테스트가 실패하는 것을 알 수 있습니다. 반면 127로 했을 경우 성공합니다. 실제로 Integer값이 들어갈 때, 이 valueOf를 이용합니다 high 값은 이렇게 설정되어 있습니다. java를 실행할 때 아무 옵션을 주지 않았다면, 127로 되어 있습니다. 그래서 -128부터 127까지는 캐시에 있는 값을 들고 오고, 아닌 경우에는 새로운 객체를 만듭니다. 즉, -128 부터 127까지는 같은 객체를 재활용하며, 이 이상 범위는 새로운 Integer 객체를 만들어서 반환합니다. 그렇기 때문에, 이런 식으로 테스트를 하게 되면 객체의 주소값을 비교해서 이러한 현상이 나오게 됩니다. 그래서 객체를 비교할 때는 equals(.. 2024. 3. 7. 이전 1 다음